소나무길 등로로 이어지는 비봉산과 옹점봉
▶산행일자: 2014년 8월31일
▶산행장소: 경북 청송군 진보면
▶산행코스: 진안리 옹기도막-매산-너분동삼거리-
수정분기점-헬기장-비봉산사거리-비봉산-옹점리방향(남릉)-
소나무숲길-596봉-574봉-참나무군락지-599봉-
엄나무단지-임도-옹점교
▶산행시간: 3:20
☞산행거리: 11.7km
오늘은 멀리 청송군 진보면에 있는 비봉산과 옹점봉의
산행에 나선다.
31번 국도가 지나가는 청송 옹기체험장 안내문이 서있는
옹기도막에 하차하니 쾌청한 하늘빛이 눈부시게 아름답다.
횡단보도건너 청송전통옹기 안내판이 서있는 길따라
옹기들이 길게 줄 서있는 곳으로 올라선다.
산행시작.
버스에서 내리자마자 둘러볼 여유 없이 올라섰는데
올라온곳을 뒤돌아보니 연꽃池도 보이고
진보면일대 마을들이 평화로워 보인다.
시멘길따라 4분정도 올라와 굳게 잠긴 철문옆 좌측
비봉산 안내도가 서있는 길로 등로가 열리고 있다.
맑은 햇살을 받으며 구불구불한 오솔길따라
편안한 발걸음이 시작된다.
약간 가파른 산길로 올라 운동기구
쉼터를 지나간다.
업다운이 거의 없는 소나무 산책로를 따라가다
살짝 올랐다 내려서면 일자로 흘러가는 밋밋한
비봉산길 능선이 보이기 시작한다.
일자로 보이는 비봉산 능선.
매산정상을 가리키고있는 이정표 있는곳을 지나
등로는 가팔라지기 시작한다.
긴 나무계단길 따라 올라서기 시작하면 평평한 길만
걸어와서일까?
계속되는 오르막등로에 숨이 차오른다.
계단길을 지나 오르막길은 계속된다.
매산.
오르막 산길을 치고 올라서니 벌써 매산 정상이다.
넓은 공터에 체육시설들이 자리하고 있다.
매산 정상에서 등로는 두갈래로 갈라진다. 좌 직진하는
동북방향은 동천지를 지나 비봉산사거리에서 비봉산으로
오르는 길이고,
우측 남쪽길은 너분동삼거리를 지나 비봉산으로 오르는 길이다.
어느쪽으로 가던 비봉산으로 이어진다.
우리는 너분동삼거리 방향으로 남쪽을 향해간다.
너분동 삼거리방향(남쪽)으로.
경북 청송 오지속 원시림의 산길을 예상했는데
의외로 잘 정돈된 소나무들이 질서정연하게 서있어
걷기에 쾌적하다.
밋밋한 비봉산이 점점 가깝게 다가온다.
샘터 갈림길.
동네 뒷동산인 매산 정상을 지나 8분정도
걸어가다 샘터갈림길을 지난다.
좌우로 길이 갈라지며 외씨버선길 이정표가 보인다.
외씨버선길을 버리고 좌측등로를 따라간다.
비봉산아래 넓은밭과 무덤들이 넓게 펼쳐지는
풍광을 바라보며 무덤2기를 지나 임도길로 나온다.
무더운 여름철에는 가림막 나무들이 별로 없어
걷기 힘들었을 길이나 가을의 부드러운 햇살
을 받으며 한동안 쾌적하게 걸어간다.
다시 만나는 좌우 갈림길(좌틀)
시야가 트이며 원만한 비봉산 능선이 넓은 초원을
내려다보고있다.
넓은 초지의 풍성한 초록풀밭 아래 수확하고 있는
농부들의 모습너머로 진보면일대의 산군들은 평화롭기만하다.
약간 우측으로 휘어지는듯한 산길따라 낡은 폐가옥
을 보며 좌틀하여
아름드리 굵은 소나무숲길로 들어선다.
좌측 산길로.
소나무숲길 진입.
숲길따라 올라 돌탑을 지나고 가파른 오르막에
땀을 흘리며 숲길에 들어선지 13분여,
수정사 분기점을 통과한다.
완만한 잔솔숲길이 이어진다.
헬기장애서니 바봉산이 얼굴을 내민다.
비봉산을 바라보고.
사각평상과 나무벤치가 놓여있는 완만한
숲길을 지나간다.
비봉산 사거리.
매산에서 동천지방향으로 향하던 산길과 합류하는
비봉산 사거리에 선다.
400m 남았다는 얼마 남지않은 비봉산을 향해
속력을 내기 시작한다.
돌탑지나 가파르게 한오름 올려쳐 비봉산
정싱에 선다.
비봉산 정상.
비봉산.
넓은 헬기장의 비봉산 정상은 흰구름이 머물러
있는 사이로 쾌청한 바람이 불어온다.
비봉산.
낙동정맥 마루금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 진보면
와 며칠전 다녀왔던 맹동산일대의 풍력발전기단지
들이 멀지 않게 바라보이니 더욱 감회가 깊어진다.
말로만 듣던 청송교도소가 멀리 산자락 아래 내려다 보인다.
진보면일대.
풍력발전기가 있는 맹동산 일대를 바라보고.
낙동정맥 마루금.
진한 감동속에 작은산에서의 훌륭한 조망을
마치고 옹점리 방향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잠깐 어수선한 풀숲을 헤치고 내려 소나무숲길을
따라 요란한 풀벌레 소리에 귀 기울이며 걸어간다.
매미소리가 한창이던 여름은 가고 가을 풀벌레소리가
요란해지니,
계절은 서서히 가을의 문턱을 넘고있나보다.
비봉산을 지나 40분간 소나무숲에 삼림욕을 하며
걸어가다 596m봉에 올라선다.
차츰 등로는 좌로 휘어지며 논실(옹점마을)갈림길을
지나간다.
논실마을 갈림길.
옹점(소티맥이)방향으로 간다.
평평한 안부로 내려섰다 가파르게 올라서고.
옹점봉 올라서기 직전 고현리 갈림길.
에서 직진한다.
옹점봉.
잡목에 둘러싸인 옹점봉정상은 삼각점만이
존재감을 나타내고있다.
남릉따라 옹점방향으로 참나무 군락지와 둥굴레
군락지를 따라 8분정도 평탄하게 걸어간다.
참나무군락지.
평탄하던 숲길은 앞을 막고있는 599m의무명봉을
향해 가파르게 올려친다.
599m봉.
힘들게 599m봉을 넘어서니 엄청난 엄나무군락지
옆을 지나게된다.
옹점리쪽 마을도로가 내려다보이고 임도길이 시작된다.
바로 아래 도로는 가깝게 보이는데 가도가도 끝이없고
산허리를 돌아가는 임도는 쉽게 길을 열어주지 않는다.
좌우 어느쪽으로 가든 합류하는 임도길따라 15분 정도
걸어가다 임도길이 지겨워 탈출할 기회를 엿보다,
경고문이 있는 흙길임도가 끝나는 지점에서
임도길과 작별하고 우측 풀숲으로 진입하여 무작정
치고 내려선다.
우측 숲길로 내려 임도 탈출.
거친 잡목등걸을 헤치며 3~4분 내려 무덤가에 서니 길은
끊어진다. 이리저리 길을 찾아 내려서니 아래는 공사중인
높은 절개지에 더이상의 진행이 어렵다.
우측으로 절개지를 계속 따라가다 험한 잡목과 바위들을 넘어서
간신히 내려 흙을 다 듬어 놓은 공사장 안으로 내려선다.
무덤가.
높은 절개지에 내려설수 없어 우측으로 더 걸어간다.
흙을 개간해놓은 공사장으로 내려서고.
사과 과수원쪽으로 내려서 민가를 지나 마을길 도로쪽으로
나와 오늘의 종착지 옹점교와 옹점리버스정류소가 보인다.
내려오는 길이 좀 험했지만 부드러운 소나무능선길로
일관한 오늘산길은 그야말로 웰빙산길이었다.
거리가 멀어 접근이 쉽지 않은 청송의 작은산길에 발자취
를 남기며 비봉산의 산행을 끝마친다.
옹점교.
산행끝.
'산줄기따라 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청산, 돌도끼산, 만지산 (0) | 2014.09.16 |
---|---|
각희산, 물방우산, 덕암산, 조단봉 (0) | 2014.09.10 |
십자봉 삼봉산 (0) | 2014.09.02 |
삼방산 절개산 (0) | 2014.08.26 |
여주 마감산, 보금산 (0) | 2014.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