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성지맥 1구간
▶산행일자: 2020년 1월4일
▶산행장소: 전남/ 함평
▶산행경로: 용천사(함평군 해보면 광암리)-철성지맥 분기점 왕복-838번도로-당재-오두재-281.9m봉-
송산고개-262.1m봉-△341.5m봉-깡촌고개 임도-287.6m봉-318.7m봉-285.2m봉-258.4m봉
-260.1m봉-236.3m봉-24번도로(함장로)-154.4m봉-155.1m봉-대동면 월성리 도로-
철성산(265.5m)-오석고치(함평군 대동면 금곡리)
▶산행거리 및/ 산행시간: 17.67km/ 5;52
철성지맥은 영산기맥 불갑산 서쪽 용천사 뒷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함평군 학교면 월호리 중천포에 맥을
다하는 약 31.2km의 산줄기로 최근에 분맥에서 지맥으로 승격되었으며 산이름을 가진 산은 철성봉과 속금산
별바우산이 있다.
용천사(함평군 해보면 광암리)~오석고치(함평군 대동면 금곡리)까지 진행도.
많은 선답자들의 산행기를 보면 이구동성으로 가시잡목으로 악명높은 지맥이 철성지맥 이라고 한다. 341.5m봉이
최고봉인 만큼 야트막한 산줄기에 남도 특유의 가시밭 산길이 이어지나 몇군데를 빼놓고는 겨울철엔 그런대로 걸
을만한 산길로 영산기맥 산길을 떠올리게 된다.
산이 높지않아 야산정도로 생각했는데 정작 산에 들어서면 골이 깊은 오지산에 들어선것 만큼 때묻지 않은 원시적
분위기도 물씬 풍겨온다. 산행 후반으로 올수록 계속 나타나는 자잘한 잡목봉을 오르내리며 가시덩쿨과의 일전을
벌이며 많은 에너지를 탕진했지만 생각보다는 수월하게 한 구간을 끝맺을수 있었다.
10:40 용천사(산행들머리)
백제시대 고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18교구 본사인 백양사의 말사로 대웅전 층계아래 용천이란 샘에서 유래하여
용천사란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주변경관이 공원처럼 조성되어있고 특히 꽃무릇이 절주변에 많이 심어져 꽃이피는 9월에는 많은 관광객들이 붐
비는 곳이라는데 겨울이 깊어가는 山寺는 고요하기만 하다.
찬찬히 둘러보고 싶지만 산행거리도 길고 가시밭속 등로를 헤쳐갈 생각에 마음의 여유가 없다. 바삐 걸어가는
대열에 이탈하기도 쉽지않아 대웅전쪽에 눈길만 던지고 공원길로 조성된 등로따라 분기점으로 향한다.
유명한 용천사의 꽃무릇이 무리지어 있는 넓은 꽃무릇밭을 보며 분기점을 향해 오른다
.
꽃무릇은 가을에 잎이 올라와 월동후 봄에 잎이 지고난 후 추석을 전후에 꽃을 피워 잎과 꽃이 서로 만나지
못해 상사화라고도 하나 수선과에 속하는 알뿌리 식물로 꽃무릇과 상사화는 조금 다르다고 한다.
꽃무릇지대.
지도상에는 불갑산이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현지에서는 모악산이라고 하는가보다.
10:52 능선 갈림길.
약간 가파른 산길로 능선안부에 올라서면 철성지맥은 우측 용천사 방향으로 갈라지나 모악산 아래 분기점을
찍기위해 좌측으로 가서 분기점을 찍고 다시 이곳으로 되돌아와 진행한다.
10:55 철성지맥 분기점.
다시 되돌아내려 직진하는 남쪽방향으로 향하며 철성지맥 산길에 발을 들인다.
10:57 철성지맥길 출발!!
11:00 용천사 갈림길. (직진)
용천사 갈림길을 지나자마자 길은 나빠지고 얽혀드는 가시덩쿨속을 헤치며 비로소 철성지맥
길에 들어섰음을 실감케한다.
11:08 가시덩쿨지대를 지나 임도에 내려서고 임도를 가로질러 거친 잡목숲을 통과,
분전함이 있는 수레길로 나와 우측으로 따라 걸어가다 838번 도로로 내려선다.
11:16 838번도로.
가시잡목은 많으나 걸어갈만하고 한오름 올라 좌측으로 꺾어 지도상 당재를 지난다.
무성한 가시잡목과 씨름하며 당재 지나 삼나무숲을 통과하여 남동방향의 마루금을 따라 오른다.
쓰러진 오두재와 한옥마을 갈림 이정표가 있는 갈림길에서 좌측 오두재 방향으로 진행.
잡목속에 오두마을 이정목이 서있는 오두재를 통과한다.
11:40 오두재.
준희님의 격려문을 보며 한오름 올려쳐 281.9m봉에 선다.
11:50 281.9m봉.
281.9m봉을 밟고 좌틀하여 내려서고 험한 가시잡목속을 지나 초록색 꽃무릇이 잔디처럼 깔려있는
송산고개를 지난다.
11:58 송산고개.
12:07 262.1m봉.
전면에 두릅밭이 있는 남서방향의 능선을 보며 벌목지 능선을 올라선다.
벌목지에서 뒤돌아본 지나온 능선.
두릅밭사이로 올라 능선안부에 서면,
우뚝한 불갑산과 이어지는 영산기맥길이 아련하게 건너다 보인다.
성성한 가시잡목이 연신 발목을 잡아 끌지만 그럭저럭 잡목사이를 요리조리 피해가며 특징없는 산길을
걸어간다.
전면에 바위들이 높게 보여지는 341.5m 삼각점봉을 향해 한바탕 힘을쓰며 올라선다.
정점에 바위들이 꽃처럼 모여있는 철성지맥에서 가장 높은봉우리인 341.5m 삼각점봉.
12:27 △341.5m봉
우측으로 틀어서니 길은 거칠어지고 산죽밭과 가시덩쿨이 엉켜있는 험로가 이어진다.
가파른 내리막 등로.
가시덩쿨로 뒤덮힌 험지를 뚫고 내려서니 절개지가 깊다. 가시덩쿨을 치며 간신히
깡촌고개 임도로 내려선다.
12:39 깡촌고개 임도.
승용차까지 올라온것을 보니 우측 임도를 따라가면 송산호까지 연결되는것 같다. 좌측 산길로
올라 다시 가시잡목속으로 들어선다.
거친 잡목산길에 갑자기 나타난 바위에서 좌측으로 꺾어 진행,
13:02 287.6m봉.
거의 남쪽으로 가는 마루금따라 방향을 잡으며 험한 가시잡목을 헤치며 걸어간다.
13:19 병풍산 갈림길.
우측에 351,8m 삼각점봉을 거쳐 병풍산까지 이어지는 갈림길로 오늘은 언감생신 다녀올 생각조차 할수
없다. 험한 잡목과 씨름하다보니 마땅히 쉴곳도 없어 지금까지 물한모금 마시지 않고 걸어왔는데 이곳에
서 잠시 휴식하고 출발한다.
잠시 휴식하고 출발!! 이끼낀 바위능선길이 이어지고 좁은 날등을 타고 걸어올라 우뚝선 봉을 보며
올라서니 318.7m봉에 맨발님의 팻말이 걸려있다.
13:41 318.7m봉.
가시잡목숲에 간간히 나타나는 삼나무숲은 잠시 마음의 휴식을 제공해 주기도..............
13:54 285.2m봉.
잘 조성된 묘지를 지나 임도길로 내려선다.
모처럼 편안하게 임도따라 걸어올라 우측 산길로 들어서니 기상관측소가 나오고 기상관측소
좌측으로 진행, 얼마후 잡목으로 가득한 258.4m봉을 넘어선다.
14:16 258.4m봉.
구불거리는 임도길이 좌측 아래로 보이고 잡목사이로 구산 저수지의 파란 물빛깔이 보이며 쉬지않고
이어지는 가시잡목길에 방향을 알려주는듯 하다.
거친 잡목과 씨름하여 260.1m봉에 서니 준희님의 팻말이 걸려있다. 가시잡목의 험로에 이런 정점표시가
걸려있어 철성지맥산길의 등대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14:43 260.1m봉.
구산 저수지.
14;58 236.3m봉.
잡목의 기세가 더욱 드세지기시작하고.
무덤지대로 내려서니 마른 칙덩쿨이 산처럼 쌓여 길이 보이지 않는다.
칙덩쿨지대 통과.
단아한 삼나무숲을 지나 24번도로 함장로로 내려선다.
15:23 24번도로(함장로)
도로건너 마을쪽을 진입, 넓은 밭가를 가로질러 올라선다.
15;38 154.4m봉.
근처 교회에서 세워 놓은듯 생뚱맞은 이정표가 서있는 곳에서 소망봉 방향으로 좌틀.
15:44 155.1m봉.
전면에 비로소 철성산이 바라보인다.
범음사 임도에서 우측 산길로 들어 철성산을 향한 오름길이 시작되었다. 철성산까지만 올라서면
오늘산길은 끝나는것인데 발은 무겁고 산행막판에 잡목을 치며 올라서려니 힘은 두배로 들어온다.
조망좋은 바위에서 바라본 풍광.
16:12 철성산(265.5m).
마침내 철성지맥의 주봉 철성산 정상에 올라서니 서산의 햇님이 살짝 고개를 내밀고 있다. 하루동안의 무거운
짐을 내려놓는 순간이다.
직진하는 뚜렷한 능선길에 유위하며 약간 백하듯 돌아서 남서방향의 등로따라 내려선다.
이제 다왔다.!!
치성한 가시잡목 산길속에 긴장감과 두려움속에 진행한 철성지맥 1구간을 무사히 끝마친다. 거칠었지만
겨울철이어서 독도하기에 수월했고 빈가지로 서있는 나무들과 말라버린 가시덩쿨이 일조한 까닭에 그럭
저럭 수월하게 한구간을 끝마치게 되었다.
16:31 오석고치(함평군 대동면 금곡리)
'호남정맥분기지맥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성지맥2구간 오석고치, 내동치, 속금산, 별바우산 월호리 중천나루 (0) | 2020.01.14 |
---|---|
흑석지맥3구간 산호리(호동마을). 솔대목산, 두리봉, 중매산, 갈마산, 삼호 현대조선소 (0) | 2019.05.01 |
흑석지맥2구간 선황리(당리마을), 선황산, 성산, 호등산, 호동마을 (0) | 2019.04.24 |
봉대지맥2구간 감나무재,천마산, 독산, 대월산, 큰산,깃대봉, 삼암봉, 점암선착장 (0) | 2018.12.04 |
봉대지맥1구간 매곡리수반마을, 분기점, 봉대산, 검무산, 이성산, 동산, 봉대산, 감나무재 (0) | 2018.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