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정맥분기지맥2

봉대지맥1구간 매곡리수반마을, 분기점, 봉대산, 검무산, 이성산, 동산, 봉대산, 감나무재

산길 나그네 2018. 11. 27. 06:13

 

 

 

 봉대지맥 첫구간

 

 

 ▶산행일자: 2018년 11월24일

 ▶산행장소: 전남/무안

 ▶산행경로: 매곡리 수반마을-봉대지맥분기점-현경면 용정리 봉대횟집까지 차량이동-봉대산(83.8m)-

          작은봉대산(62.2m)-△검무산(104.8m)왕복-△53.6m봉-어은동 이성산입구(24번27번도로)까지

          차량이동-△이성산(122m) -123m봉 왕복-△동산(64.2m)-805번도로-해제성당,해제중학교-

          △봉대산(197.1m)-△202.2m봉-KT송신탑-땅골도로(용덕사입구)-56.8m봉-광신리 발산마을 감나무재

 ▶산행거리 및 산행시간: 34.47km(차량이동 포함) 걸은 실거리(20km) / 5:25

 

2018-11-24 봉대지맥1구간 수반마을(분기점)~광신리 발산마을(감나무재)__20181124_1113.gpx
0.15MB

 

 

 

 

 

 

 

 봉대지맥은?

 영산기맥 감방산 남쪽 무안읍 매곡리 수반마을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봉대산, 검무산, 이성산, 동산, 봉대산, 천마

 산,독산, 대월산,을 지나 신안군 智島 앞까지 이어지던 산줄기가 섬이었던 智島가 연육교와 방조제 갯벌로 육지와

 연결되어 계속 한봉산, 큰산, 삼암봉으로 산줄기가 이어지다 智島의 정암선착장에서 끝을 맺는약 52.3km의산줄기다.

 

 

 

 매곡리 수반마을~광신리 발산마을 감나무재까지 진행도.

 

 

 

 

 

 

 

 

 

 오늘은 전남 무안읍 매곡리에 시작되는 봉대지맥 산길에 나선다. 지맥이라고는 하나 산과 산으로 연결되지 않아

 도로가 마루금을 길게 차지하고 있는곳은 차량으로 이동하며 산길과 도로를 넘나들며다소 번잡스런 산행을 한다.

 

 서울에서 첫눈을 보며 버스에 승차하여 4시간반동안 장거리 버스에 시달리다 매곡리 수반마을에 내려서니 비는

 멎고 점차 하늘이 맑아진다. 다행스런 마음으로 주영한우농장 입구 마을길 소로따라 분기점으로 향한다.

 

 11:12   매곡리 수반마을.

 

 

 

 

 

 몇걸음 걷지않아 연두색 저수통앞 전봇대에 준.희님의 봉대지맥 분기점 팻말이 걸려있다. 팻말이 걸려있지 않으면

 알수도 없는데 적재적소에 걸린 분기점 팻말이 오늘따라 고맙게 여겨진다. 

 

 지맥산길에 자주 등장하는 비실이부부가 분기점을 찍고 내려오다 마주하니 한번도 본적은 없지만 반가운 마음이

 든다. 그이들도 승용차로 종주하러온것 같은데 우리팀과 코스가 같아 승용차를 두고 우리와 함께 가기로하니 우연

 치곤 대단한 인연인것 같다. 

 

 봉대지맥 분기점.

 

 

 

 

 

 영산기맥 감방산이 수반마을 너머로 바라보인다.

 

 

 

 

 

 분기점을 찍고 현경면 봉대밑마을까지는 도로가 마루금이라 무안.광주간 고속도로등 되도록 마루금에 근접하며

 차량으로 20분간 이동하여 현경면 용정리 봉대밑마을 봉대횟집앞에 내려섰다.  

 11:35  봉대횟집.

 

 

 

 

 

 용정리 방향으로 도로따라 걸어가노라니 무안이 양파의 산지로 알고있지만 땅은 온통 황토밭에 양배추밭이 끝없이

 이어지고있으니 아마도 양배추의 산지로도 손색이 없을것 같다.

 

 

 

 

 토실토실 영그러가는 양배추밭.

 

 

 

 

 11:42   용정리 도로표지판이 걸려있는 쪽으로 직진하다  좌측 밭가로 들어서면.

 

 

 

 

 야산처럼 보이는 봉대산이 황토밭 너머로 바라보인다. 철썩철썩 들러붙는 찐득한 황토를 밟으며

 밭가를 걸어올라 봉대산을 향한다.

 봉대산.

 

 

 

 

 잠시후 붉은 황토밭 너머로 시야에 들어오는 서해바다 풍광을 보며 나무덤불이 우거진 잡목속으로 파고든다.

 

 

 

 

 잡목숲.

 

 

 

 

 거친 잡목숲속을 헤치고 봉대산 정상에서니 넓은공터에 운동기구들과  정자가 있어 올라온길과는 전혀 분위기가

 다른한적한 정상이다. 과거 봉수대였던 곳인지 옹산봉수에 대한 안내도가 서있고 삼각점도 함께있다.

 봉대산 정상.

 

 

 

 

 

 

 

 

 11:54   △봉대산(83.8m)

 

 

 

 

 봉대산을 출발, 역시 가시덤불속 잡목가지를 헤치며 내려 도로에 선다.

 

 

 

 

 1차선 도로에서 우측 SK주유소가 보이는곳으로 걸어가면 다음으로 올라야할 작은봉대산이 고개를

 내밀고 있고.

 

 

 

 

 도로에서 바라본 작은 봉대산.

 

 

 

 

 

 SK주유소 지나자마자 좌측으로 길도 보이지않는 거친 숲으로 다시 파고들어 황토밭가를 지나 작은봉대산

 으로 올라선다.

 

 

 

 

 봉같지않은 잡목봉인 작은 봉대산에 발자국 하나 남기고 가시덤불을 제끼고 다시 마을 농로길로 내려선다.

 12:11   작은봉대산(62.2m)

 

 

 

 

 농로길에 바라본 다음으로 올라야할 검무산.

 

 

 

 

 우측으로 굽어지는 마을길따라 검무산으로 향하노라니 좌측 양파밭 너머로 서해바다 풍광이

 시원하게 마음을 열어준다.

 

 

 

 

 

 

 

 

 마을길 농로따라 나지막한 검무산을 향해간다.

 

 

 

 

 방금전에 지나온 봉대산과 작은봉대산을 뒤돌아보고.

 

 

 

 

 

 숲길로 들어 무덤가를 지나 지맥은 우측으로 진행하나 좌측에 있는 검무산을 들렀다가기위해 좌측방향으로

 진행하여 어수선한 산길로 올라 검무산 정상에 도착한다.

 넓은공터에 봉수대처럼 생긴 돌탑과 운동기구들이 놓여있는 사방이 트인 조망좋은 봉우리다.

 

 

 

 

 12:39   △검무산(104.8m)

 

 

 

 

 

 봉대산과 작은봉대산을 거쳐 지나온 마루금과 옆으로 올망졸망한 섬들이 보이는 서해바다를 바라보며

 누워있는 전답들이 그림처럼 아름답다. 

 

 

 

 

 

 검무산 정상을 내려 올라섰던 길에 원위치하여 조금 걸어가다 길없는 우측 잡목속으로 들어서 가시잡목과

 한바탕 일전을  치르고 오류마을길로 내려선다.

 

 

 

  오류마을. (넓은 밭가를 가로질러 우측에 보이는 산릉으로 향한다.)

 

 

 

 

 

 컨테이너 건물이 보이는 곳으로 직진하여 마을길 도로따라 걸어가다,

 

 

 

 

 24번,27번도로에 접속하여 좌측으로 진행,

 

 

 

 마산육교를 건너선다.

 

 

 

 

 신기마을 표지석있는곳에서  우측 마을길로 들어 함평이씨세장비가 있는곳으로 좌회전,

 

 

 

 

 전면에 능선을 보며 걸어가다 산길로 진입, 가시덤불을 헤치고 53.6m 삼각점봉을 찍고 내려선다.

 

 

 

 

 13:17   △53.6m봉.

 

 

 

 

  지나온 봉대산과 검무산이 어느새 저만큼 멀어져있고.

 

 

 

 

 

 황토흙이 철썩 들러붙어 2배로 무거워진 등산화를 끌며 버스가 대기하고 있는곳으로 간다. 건너편에 원마산

 버스정류소가 있고 마산마을 입구 표지석이 서있는 24번도로로 돌아와 어은동 이성산임구까지 차량으로 이

 동한다.

 13:26  마산마을입구.

 

 

 

 

 

 마루금과 함께가는 도로따라 버스를 타고 마산마을입구를 출발한지 8분후 이성산입구인 어은동마을 표지석

 앞에 내려선다. 밭길을 가로질러 신만마을 방향으로 이성산을 왕복하기로 하고 이제부터는 계속 감나무재까

 지 걸으며 산행을 한다.

 13:38   어은동마을.

 

 

 

 

 신만마을 방향으로.

 

 

 

 

 

 

 

 

 

 이성산 약수터 갈림길을 지나고.

 

 

 

 

 삼각점이 놓여있는 122m봉에 도착하고, 조금 더 가야있는 이성산으로 향한다.

 13:53   △122m봉.

 

 

 

 

 이성산 정상으로.

 

 

 

 

 이성산(123.6m)

 

 

 

 

 이성산에서 우측으로 바라본 함평만.

 

 

 

 

  약 30분간의 이성산을 왕복하고 어은동입구 77번도에 원위치하여 우측 넓은 양파밭이 펼쳐진 밭길

 로 들어선다.

 77번도로. (원위치)

 

 

 

 

 

 

 

 

 

 넓은 황토밭을 가로지르며 전면에 보이는 에프엔디 무안공장쪽으로 걸어간다.

 

 

 

 

 밭가를 가로질러 마을길 도로로 나와 뒤돌아본 이성산.

 

 

 

 농로길따라 걸어가다 산길로 진입하여 엄청난 가시잡목을 헤치고 동산에 올라선다.

 

 

 

 

  가시잡목을 헤치고 잘 정비된 무덤1기가 놓여있는 동산 정상도착

 14:30  동산(64.2m)

 

 

 

 

 동산을 출발, 등로가 보이지않는 사나운 잡목지대를 뚫고 양매리 마을길로 내려서니 넓게 펼쳐진 양파밭과

 양배추등의 싱싱한 작물들이 남녘의 온후한 기온을 느끼게 해준다.

 

 

 

 양매리 일대.

 

 

 

 

 

 다음으로 올라야할 봉대산을 멀게 바라보며 마을길따라 걸어가노라니 오늘 버스로 일부구간을 진행한다고

 하여 쉽게 생각했었는데 가도가도 끝없이 펼쳐지는 밭길과도로따라 저곳까지 갈 생각을 하니 수월한 지맥길

 은 하나도 없는것 같다.

 멀리 통신탑과 함께 서있는 봉대산. 

 

 

 

 

 해제방향의 도로표지판따라  805번도로를 지나 마을길 도로로 들어서니. 

 

 

 

 

 좌측으로 해제중학교 건물이 바라보인다.

 

 

 

 

 14:46   양매리 외분마을을 지나고.

 

 

 

 

 양파밭과 양배추밭너머로 봉대산이 조금 가까워진듯 하다.

 

 

 

 

 15:07  신정1리 응양마을앞을 지나 산길로 들어 상품가치없는 못생긴 감나무들이 빼곡하게 서있는 감나무

 아래를  낮은 포복으로 통과하고.

 

 

 

 

 봉대산이 가까워진듯 시멘임도길이 이어지며 길은 좋아진다.

 

 

 

 

 

 

 

 

 봉대정이 보이는 봉대산 정상 도착. 오늘 산길에 봉대산이 3개나 있는데 이곳 봉대정이 제일높다.

 

 

 

 

 15:31   △봉대산(197.2m)

 

 

 

 

 봉대정에 올라 잠시 휴식하고 앞에보이는 통신탑봉으로 향한다.

 

 

 

 

 202.2m봉을 바라보며.

 

 

 

 

 15:40   △202.2m봉.

 

 

 

 

 올라섰던길로 되돌아내려 우측 통신탑이 있는 곳으로 향한다.

 

 

 

 

 KT 통신탑을 지나고.

 

 

 

 

 함평이씨 가족묘로 내려선다.

 

 

 

  좌우 임도길을 만나 방향따라 좌측으로 꺾어 내려선다.

 

 

 

 

 밭가를 지나 전면에 보이는 잡목숲으로 진입.

 

 

 

 

발길을 잡는 나무덤불과 가시잡목과 일전을 치루고 농로길로 다시 나온다.

 

 

 

 

 

 16:02   땅골도로.

 

 

 

 

 다시 들어서야할 야산을 바라보며,

 

 

 

 

 용덕사입구를 지나 양배추밭가로 가다 잡목숲 진입.

 

 

 

 56.8m봉을 향해 가시잡목속으로 파고든다.

 

 

 

 

 

 

 

 

 16:22  65.8m봉.

 

 

 

 

 우리농산물 살리기 영농조합이 저만큼 보이며 오늘산행의 종착지 감나무재가 바라보인다.

 

 

 

 

 

 발산버스정류소와 발산마을 표지석이 있는 감나무재에 서며 오늘 발걸음은 이곳에서 멈추어선다. 거의 차량으로

 이동할줄 알았는데 큰도로 약 14km정도를 제외하고 20km정도 걸었으니 거의 마루금에 충실한 산행을 한것같다.

 다음구간을 기대하며 봉대지맥 첫구간은 이렇게 마무리한다.

 16:37  감나무재.

 

 

 

 

 감나무재.

 

 

 

 

2018-11-24 봉대지맥1구간 수반마을(분기점)~광신리 발산마을(감나무재)__20181124_1113.gpx
0.15MB